기관지점막상피 또는 폐포상피에 생기는 암으로서 50-60살의 남자에게서 흔히 본다.


원인은 아직 분명치 않으나 담배를 많이 피우는 것이 하나의 원인으로 간주되고 있다.

폐에 생긴 암종은 흔히 목, 겨드랑이, 배 안의 임파절로 퍼진다.

조기증상으로 중요한 것은 기침이 나고 피가래가 나오며 가슴이 아프고 숨이 가쁜 것이다.

말기에는 이상과 같은 증상이 더 심해지면서 얼굴이 붓고 목도 쉰다.


<약물치료>

1)하늘타리뿌리(과루근): 10-15g을 잘게 썰어 물에 달여서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또는 하늘타리씨도 쓸 수 있는데 이때는 6-12g을 물에 달여서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다.

뿌리달임약은 항암작용과 암세포 발육억제작용이 있는데 동약 가운데서 제일 세다고 한다.

콩팥질병이 있을 때에는 쓰지 않는다.

 

2)왕벌젖: 10g을 100g의 꿀에 섞어서 매일 아침 밥 먹기 전에 5-10g씩 먹는다.

왕벌젖의 지방산은 항암작용을 한다.

 

3)우엉뿌리: 보드랍게 가루내어 한번에 3-4g씩 하루 3번 먹는다.

우엉꽃 또는 씨 10g을 물에 달여 만든 달임액을 하루 3번에 나누어 먹기도 한다.

뿌리에 있는 알칼로이드 성분은 항암작용을 하는데 종양세포의 성장을 억제한다.

 

4)너삼(고삼), 율무쌀(의이인): 너삼뿌리 15-24g을 하루 양으로 하여

너삼과 율무쌀을 1:2 비로 섞어 달여서 3번에 나누어 먹는다.

너삼뿌리에 들어 있는 알칼로이드 성분인 마트린은 항암작용을 한다.

 

5)길짱구(차전초): 마른잎 10g을 200ml의 우린 약으로 만들어 하루 3-4번에 나누어 끼니 사이에 먹는다.

길짱구에는 아우쿠빈, 플란타민 등의 배당체와 많은 양의 다당류가 들어 있어 항암작용을 나타낸다

 

*.폐암 처방의 세 가지 요건.

1.보기[補氣]약제를 선택해야 한다.

보기제 중에 인삼은 사용하지 말고 황기를 대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황기/백출/백복령/대추 등이 좋다.

2.보음지제를 사용해야 한다.손상된 폐를 보호하기 위해 보음지제를 사용해야 한는데 황정/맥문동/천문동/지모 등이 좋다.

3.환자의 체질에 맞는 항암약을 선택해야 한다.

 

*.폐암에 좋은 기본 처방의 약재.

1.소청룡탕.

마황/백작약/오미자/반하[법제한 것]/세신/건강/계지/감초/

2.자음강화탕.

백작약/당귀/숙지황/맥문동/백출/생지황/진피/지모/황백/감초.

이상의 기본적인 처방을 응용하여 폐암에 작용하는 항암 약재를

가미한다.

*.폐암에 작용하는 항암 약재[약초].

1.황금.

꿀풀과에 속 하는 황금의 뿌리를 약으로 사용한다.바이칼레인/바이칼린/오고닌 등 플라본유의 항암약이다.황금은 이비인후과 질환/폐질환/대장 질환에 많이 사용되는 약인데,항암약으로는 대장암이나 폐암 /유방암에 사용된다.

항암 효능은 황금에 함유된 오고닌의 작용에 기인한다.오고닌은 임상이나 실험에서 아주 강한 항암 활성 작용이 있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백영.

가지과의 식물로서 백영[백풍등]의 뿌리,전초를 약으로 사용한다. 효능은 열을 내리고 이뇨 작용이 있고 관절 주위의 어혈이나 담을 제거해 준다.

백영에 함유된 베타-솔라마린이 항암 작용을 한다.주로 폐암에 많이 사용되는 약초로써 암으로 인한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능도 가지고 있다.폐암에 사용할 때는 백영/용규/백화사설초/반지련 등을 배합하여 항암약으로 사용한다.

3.백합.

백합과 식물로서 백합의 인경을 약으로 사용한다.

백합의 인경에 함유된 콜히친 등의 여러 알카로이드가 항암 작용을 한다.콜히친의 항암 작용은 세포 유사 분열을 억제시킨다.

폐암에 작용하며,폐암 환자의 기침을 멈추게 하는데 사용하는 약초 이다.

4.어성초.

민간에서 항암 작용이 있는 것으로 널리 알려진 약이다.

어성초는 약모밀이라고도 불리는데,이뇨 작용이 강하고 소염/항암 작용이 있어 폐암으로 인한 폐렴 치료에 많이 사용한다.

항암 작용은 강하지는 않으나 폐암 치료에 보조약으로 사용되는 약이다.

5.자완.

국화과 자완의 뿌리를 약으로사용한다.기도의 분비물을 증가시켜 담을 희석시키고 가래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항결핵 작용/강한 이뇨 작용을 가진 약물로 폐암으로 인한 해수/각혈 증상을 치료하는데 사용된다.자완에 함유된 프리에델린이 항암 작용을 한다.

6.백화사설초.

전남 백운산 기슭,제주도 습지에서 많이 자생하는 식물로 일명 백운풀이라고 한다.꼭두서니과에 속하는 백화사설초의 전초를 건조하여 약용으로 사용한다.

백화사설초의 잎이 꼭 뱀의 혀와 닮았다고 하여 백화사설초라고 이름지었다.역대 한의학 서적에는 백화사설초에 대한 기록이 없다.백화사설초가 약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역사는 아주 짧다.

백화사설초의 맛은 쓰고 담백하며 독성이 있다.백화사설초는 해독/항암/소염/항균 의 효능을 가진 약초로 급성 충수염/요도염/방광염/골반 내 염증을 치료하는데 많이 사용된다.그리고 해독하는 효능이 있어 독사에게 물렸을 경우 독을 해독시켜 준다.

백화사설초는 약방의 감초처럼 항암 처방에 자주 사용된다.

중국의 암 치료 전문 종합 병원에서는 백화사설초를 이용하여 각종 암 치료에 응용하는데 치료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백화사설초의 항암 연구 결과를 보면 백혈병 세포에 대하여 강한 억제 작용이 있고,인위적으로 배양한 암세포에 대하여서도 강한 억제 작용이 있는 것으로 나와 있다.

백화사설초는 위암/식도암/직장암/간암/폐암/유방암/자궁경부암/난소암 등 각종 암 치료에 응용되며 대추/용규/반지련 등 항암 약재와 같이 적절히 배합하여 사용하면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해독 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항암제나 방사선 치료 시에 발생하는 부작용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좋다.

이 약의 하루 투여량은 70~150그램 정도 인데,백화사설초 150그램만 달여서 보리차 대용으로 마셔도 좋다.다만 맛이 쓰기 때문에 쓴맛을 제거하고 항암 효과를 높이기 위해 대추를 30그램 정도 넣고 달이는 것이 더 좋다.

백화사설초는 예로부터 많이 사용된 약이 아니고 최근에 주목받기 시작한 약이므로 구입하기가 좀 어렵지만,가격이 저렴하고 암 치료에 효능이 좋으며 부작용이 없다.

7.상백피.

뽕나무 뿌리 껍질 중에서 겉껍질을 제거하고 건조한 것을 약용으로 사용한다.맛은 쓰고 달다.약의 성질은 차며 독성이 없다.

호흡기 계통의 치료에 널리 사용되는 약물인데,기침을 멈추고 가래를 삭히는 효능이 있어 기관지 염증,천식의 치료에 아주 좋은 약물이다.또한 강한 이뇨 작용이 있어 신장염이나 알레르기성,혈관 부종 등의 치료에 응용된다.

예로부터 민간 요법으로 몸이 가렵거나 두드러기가 날 때 상백피 달인 물로 목욕을 하였는데,최근들어 상백피가 알레르기성 질환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다.상백피가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으로 부터 비만 세포를 보호하여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암세포의 혈관 증식을 차단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실험 상에도 상백피는 암세포를 억제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있다.

상백피는 폐암에 유용한 항암약이다.강한 이뇨 작용이 있으므로 혈압이 낮은 암 환자는 복용에 신중을 기해야 한다.시중에 판매하는 상백피를 구입하지 말고 직접 채취하거나 믿을 만한 사람에게 구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왜냐면 중국산 상백피는 결과 반응이 잘 나타나지 않는다.

8.반지련[채송화].

채송화의 전초를 약으로 쓰며 폐암에 사용하는 항암약이다.

9.선학초.

항암 효과가 있으면서 지혈 효과도 뛰어난 약초로 혈담이나 출혈에 사용한다.선학초는 측백엽,아교와 같이 사용한다.

10.백화사.

환자의 증상을 완화시키고 항암 효과가 있는 약재이다.

백화사나 칠점사,살모사는 식이 요법과 약물 요법에 같이 사용할 수 있다.

11.남성[천남성].

항암 효과가 있는 약초로 주로 가래를 제거하는 데 상요한다.

남성은 소자,나복자[무씨] 등 거담 약재와 배합하여 사용한다.

12.행인.

폐암,자궁암에 효과가 있는 약재로 폐암 환자에게는 기침을 멈추는 효능이 있다.

13.대산[마늘].

중국에서는 마늘에서 추출한 알리신을 주사약으로 만들어 각종 암에 근육 주사로 투여하고 있다.

'도움되는 효능글 > 약재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정목과 여정목효능  (0) 2011.04.08
항암효과시무나무효능  (0) 2011.04.02
곰보배추효능  (0) 2011.03.29
약재배합금기사항  (0) 2011.03.27
산자고 효능  (0) 2011.03.2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