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골, 모려의 진해화담(鎭咳化痰)효능 

용골,,,화석이된 동물뼈

맛이 담(淡)하고, 약간 시며, 약성은 평온하고, 

뛰어난 수렴(收斂) 작용을 한다. 

무릇 인체에서 음(陰)과 양(陽)이 서로 분리되고, 

기(氣)와 혈(血)이 빠져나가며, 정신과 혼이 분리되는 

위급한 증상 등에 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임상에서 대체로 심계항진(心悸亢進), 

정충 자한(自汗 : 수면과 상관없이 계속 땀이 흐르는 것을 말함), 

도한(盜汗 : 수면 중에는 땀이 나고, 깨어난 후에는 멎는 것을 말함), 

구토, 코피, 혈변(血便), 몽정, 설사, 뇨실금 및 자궁 기능성 출혈 

등의 증상을 치료하는데 많이 사용된다. 
그 효능을 추측해보면 

평간잠양(平肝?陽), 진경안신(鎭驚安神), 수렴고색(收斂固)의 

3가지를 벗어나지 못한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과 《본초별록(本草別錄)》 

용골과 모려 

기침과 함께 기가 역으로 오르는 것과 천식을 치료할 수 있다고 말한다. 

진수원(陳修園)이 말하기를, 

담(痰)수(水)에 속하며, 화(火)를 따라서 위로 올라간다

용골양(陽)에 속하면서 해(海)에 잠겨 있기에 역으로 올라온 화(火)와

넘쳐난 수(水)를 이끌어 원래의 처소로 복귀시킬 수 있다. 

만약 모려와 함께 사용한다면 담(痰)을 제거하는 신품(神品)이 된다.”

라고 하였다. 

(痰, 水也, 隨火而升, 尤屬陽而于海, 能引逆上之火, 泛濫之水歸其宅, 若牡蠣同用, 爲治痰之神品) 


  

장석순(張錫純)은 말하기를 “ 

용골은 담(痰)을 제거하는데 뛰어나기에 폐의 담음(痰飮)으로 인한 

해수(咳嗽)와 기침과 함께 기(氣)가 역으로 오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라고 하였다.

 (其性又善利痰, 治肺中痰飮咳嗽, 咳逆上氣) 진수원(陳修園)과 장석순(張錫純)은 모두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과 《본초별록(本草別錄)》에서 말한, 

해수와 함께 기(氣)가 역으로 오르는 것과 천식을 치료하는 뜻을 

부여 받아 임상에 사용한 것이다. 


모려 바닷물에 잠복하여 살고, 맛이 짜면서 떫기에 나력을 제거하고, 

딸국질을 멎게 하며, 정기(精氣)를 견고하게 하고, 여자들의 자궁 기능성출혈과 

대하(帶下)를 치료하는데 뛰어난 효과가 있다. 

그 효능은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하나는 잠양고색(?陽固?)이고, 다른 하나는 연견산결(軟堅散結)이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이것을 “화담연견(化痰軟堅)”이라 하였고, 

《본초비요(本草備要)》에서는 “ 짠맛으로 연견화담(軟堅化痰) 작용을 하고………. 

지수렴한(止嗽斂汗) 작용을 한다.” 라고 하였다. 


(鎭)은 진정(鎭定)과 진정(鎭靜)의 뜻, 

(化)는 연화(軟化)와 잠화의 뜻


 인체가 바로 누울 때 담(痰)과 타액이 쉽게 위로 올라오며, 

야반(夜半)에서 새벽녘까지는 바로 음(陰)이 다하고 양(陽)이 

움직이는 때이므로, 역으로 올라온 기(氣) 또한 양기(陽氣)를 따라 

움직이므로 해수(咳嗽)가 시작된다. 


폐옹(肺癰 : 폐에 큰 종기가 생겨 기침과 함께 농혈(農血)이 나오는 병)


용골(龍骨)

성질은 평(平)하고(약간 차다[微寒]고도 한다) 

맛이 달며[甘] 독이 없다(약간 독이 있다고도 한다). 

정신이 좋아지게 하고 혼백을 안정시키며 5장을 편안하게 하며 

사기(邪氣)를 몰아내고 심신(心神)을 진정시키며 설사, 이질, 몽설(夢泄)을 

낫게 하고 일체 피흘리는 것[失血]을 멎게 하며 땀이 나지 않게 하고 

오줌이 많이 나가는 것을 줄어 들게 한다[본초].


본초

약으로는 5가지 빛이 나는 것이 좋다. 

누렇고 허연 것[黃白色]은 그 다음이고 검은 것은 제일 못한 것

허여면서 비단무늬 같고 혀에 대면 착 달라 붙는 것이 좋다

○ 용골은 삽제(澁劑)이다. 삽제는 빠져 나가는 것을 없애고 

    기를 든든하게 한다[固氣][탕액].

○ 불에 달구어[火 ] 보드랍게 가루내어[細硏] 쓰거나 술에 달여 

    약한 불기운에 말려서 쓴다. 아무 때나 채취한다

 

용치(龍齒)

성질이 평(平)하고(몹시 차다[大寒]고도 한다) 

맛이 떫다[澁]. 마음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편안하게 하는데 

전간(癲癎), 경광(驚狂), 헛것에 들린 것[鬼魅]을 낫게 한다[본초].

♠놀라는 것을 진정시키고 정신을 안정시킨다. 

용치는 정신이 얼떨떨한 사람에게 써야 한다[본사].

 

자소화(紫梢花)

성질이 따뜻하고[溫] 맛이 달다[甘]. 양기가 약하여 

음위증(陰 證)이 생긴 것을 치료하다[입문].

♠물가에 흘린 용이 떠내려온 나뭇가지에 들러 붙어서 

부들꽃방망이처럼 된 것을 말하는데 약간 퍼러면서 누런 빛이 나거나 

잿빛 비슷하다. 이것을 자소화라고 한다[본초].

 

 상아(象牙)

성질이 평(平)하고 (차다[寒]고도 한다) 독이 없다. 

여러 가지 쇠붙이나 참대나 나무가시가 살에 박혀 나오지 않는 것을 치료한다. 

상아로 만든 홀(笏)이나 빗을 가루내어 쓴다[본초].

 

 올눌제( 臍, 해구신)

성질이 몹시 열하며[大熱](열(熱)하다고도 한다) 

맛이 짜고  독이 없다. 

5로 7상, 신기가 쇠약한 것, 음위증, 기운이 없고 얼굴이 거멓게 되며 

정액이 찬 것[面黑精冷], 남자의 신기가 약하고 정액이 적은 것[腎精衰損], 

성생활을 지나치게 한 탓으로 신로(腎勞)가 되어 여위고 상한 것, 가위눌린 것, 

꿈에 헛것과 방사하는 것, 중악(中惡), 사기(邪氣)를 치료하며 양기(陽氣)를 돕고 

허리와 무릎을 덥힌다.

♠신라의 물개(海狗)의 음경이다. 고환이 달린 채로 떼낸다.

♠배꼽은 붉은 자줏빛이고 그 가죽에는 살이 붙어 있으며 

  노란털 3오리가 한 구멍으로 돋아나 있다. 

  음경을 떼내서 그늘에 1백일 동안 말린 다음 그릇에 담고 뚜껑을 잘 덮어두면 

  새 것처럼 눅신눅신해진다. 아무 때나 떼낸다[본초].

♠고환 위에는 붉은 자줏빛 반점이 있고 두겹으로 된 엷은 막[薄膜]이 

  고환을 싸고 있다[입문].

♠술에 하루 동안 담가 두었다가 종이에 싸서 약한 불에 고소한 냄새가 나게 

  구운 다음 잘게 썰어 탕쳐서 먹는다[본초].

♠털을 그슬려 없애고 술에 하룻동안 담가 두었다가 약한 불에 고소한 냄새가 

나게 구워서 잘게 썬 다음 따로 가루내어 쓴다. 

해구신이 없으면 이것 대신 누렁개 콩팥(黃狗腎) 3개를 쓸 수 있다[입문].

♠진짜인가를 시험해 보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잠자는 개 옆에 해구신을 가만히 가져다 놓으면 그 개가 갑자기 놀라면서 

뛰는 것으로 알 수 있는데 미친 듯이 뛰는 것이 좋다. 

또는 음력 12월에 물에 담가서 바람받이에 두어 보아 

그 물이 얼지 않으면 진짜이다[본초].

♠요즘 강원도 평해군에서 나기는 하지만 매우 귀하여 얻기가 힘들다[속방].

 

'도움되는 효능글 > 약재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채효능  (0) 2011.12.22
민백미효능  (0) 2011.12.15
이명과두뇌활동에좋은 여정실과 좋은약재들  (0) 2011.12.12
금강초효능  (0) 2011.11.22
산초기름효능  (0) 2011.11.2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