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아비꽃대(은선초)

 

 

홀아비꽃대과 여러해살이풀

* 분포지 : 전국 숲속 양지

* 개화기 : 4~5월

* 결실기 : 9~10월

* 채취기 : 봄(어린잎)봄,여름(줄기.뿌리)

* 별   명 : 홀아비쌍꽃대

* 생약명 : 은선초, 은선초근

* 유   래 : 꽃잎 없이 꽃술만 올라온다,

             아내를 두고 세상을 떠난 남편이 환생한

             이라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생태

높이 20~30cm 뿌리에 마디가 많고 덩어리가 졌으며 잔털이 있다.

어릴 때는 줄기가 외대로 길게올라오며 마디가 있다.

잎은 4장씩 붙어나고 모양이 길쭉한 타원형이며,잎 가장자리에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꽃은 4~5월에 여러 줄기가 한꺼번에 올라와 하얗게 피고,

양면칫솔과 비슷한 모양이다.

여름이 오기 전에 줄기와 잎이 말라버리며

뿌리는 휴면에 들어간다.

 

 


홀아비꽃대는

홀아비꽃대과의 다년초로서 다른 이름으로는

은녹초, 글률란, 주란, 지주란, 호래비꽃대, 홀꽃대(북한),

홀아비좆대(강원)

등으로 불리우며 잎과 꽃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이용되며,

전초와 뿌리줄기에 사포닌, 쿠마린, 알칼로이드 ,

뿌리줄기 및 잎에 정유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전초(全草)를 은선초라 하며 

지하부를 은선초근이라 하여 약용한다.

전초(은선초)는

봄~여름에 채취하여 음건하여 쓴다.

하루 1.5~3g을 물로 달여 마시거나

3배 가량의 술을 붓고 3개월 이상 우려내어 마신다.

외용시 찧어서 붙인다.

효능

을 없애고 어혈을 몰아내며,을 풀고,

오한없애며, 기운을 북돋운다.

중풍,심한기침 감기 몸살, 생리를 하지 않을때,

종기, 소변이 잘 안 나올때,

관절염, 마음 고생이 심할때, 위통에 약으로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풍기, 뼈마디가 쑤시고 아플때,

온몸이 춥고 기침이 날때, 기운이 없을때, 타박상,

종기가 나서 아플때 사용한다.


散寒(산한), 祛風(거풍), 行瘀(행어), 해독의 효능이 있다.

風寒咳嗽(풍한해수), 월경폐지, 風痒(풍양), 타박상,

癰腫瘡癤(옹종창절)을 치료한다.

祛風勝濕(거풍승습), 活血(활혈), 理氣(이기)의 효능이 있다.

류머티즘통(痛), 勞傷(노상), 感冒(감모), 胃氣痛(위기통),

월경폐지, 白帶下(백대하), 타박상, 癰腫(옹종)을 치료한다.


또한 근래에 동물실험에서

종양 억제작용이 밝혀져 항암약으로도 쓸 수 있게 되었다.

'도움되는 효능글 > 약재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롱꽃의효능  (0) 2011.06.19
100가지 약재효능  (0) 2011.06.19
담금주효능  (0) 2011.06.16
접골목 꽃 효능(기미주근깨 검버섯)탁월  (0) 2011.06.14
돌미나리(불미나리)효능  (0) 2011.06.14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