헛깨나무 효능

 헛개나무는 알코올 중독, 술로 인한 지방간, 황달, 간경화 등

 간질환과 술로 인해 대장, 위, 뇌 등 온갖 장 부위가 망가졌을 때 큰 효과

                                    헛깨나무 뿌리 입니다,,

헛깨나무 효소 20리터통,,9통을 만들었지요,,

                                      헛깨나무와 열매인 지구자 입니다,,

<성혜방> 

헛개나무는 알코올 중독, 술로 인한 지방간, 황달, 간경화 등 

간질환과 술로 인해 대장, 위, 뇌 등 온갖 장 부위가 망가졌을 때 큰 효과
 
 

≪ 헛개나무≫

알코올중독 풍습마비 간장질환 혈액순환촉진에 효과


♠ 혈액순환촉진, 번열이 나면서 입안이 마른는 데, 수족경련, 

사지무력증, 토혈, 구토, 배뇨장애, 알코올중독
(주취, 주독, 술독), 각종 간장질환, 지방간, 간염, 치질, 딱꾹질, 

갈증을 멈추고 번열(煩熱)을 없애며 해독하고 
대소변이 잘 나오게하는 헛개나무

헛개나무의 열매를 지구자(枳椇子),


뿌리를 지구근(枳椇根), 나무껍질을 지구목피(枳椇木皮), 나무속의 즙액을 
지구목즙(枳椇木汁), 잎을 지구엽(枳椇葉)이라고 하여 모두 약용한다. 

헛개나무 열매의 다른 이름은 지구자(枳椇子: 당본초), 

목밀(木蜜, 구골:枸骨: 능기, 시소), 
수밀(樹蜜, 지구:枳椇, 목당:木餳, 백석목:白石木: 최표, 고금주),

 백석목자(白石木子: 형초세시기), 
밀제화구(蜜穧禾敂, 교가지:交加枝: 뇌공포구론), 

배홍자(背洪子, 겸궁:兼穹: 주자대전), 밀굴률(蜜屈律: 태평광기), 

계거자(鷄距子, 나한지두:癩漢指頭: 소심양방), 병공(栟栱: 비아), 

괴조(拐棗: 구황본초), 천등(天藤, 환양등:還陽藤: 전남본초), 

목산호(木珊瑚, 계조자:鷄爪子, 계귤자:鷄橘子, 
결유자:結留子, 조공조:曹公爪, 자구:棘枸: 본초강목), 

백석조(白石棗: 의림찬요), 만수과(萬壽果: 약물출산변), 
계조이(鷄爪梨, 첨반야:甛半夜, 용조:龍爪: 중국수목분류학), 

벽구자(碧久子: 광주식물지), 금구구
(金鉤鉤, 산조:酸棗: 강소식약지), 계조과(鷄爪果: 남영시약물지), 

지조(枳棗: 중약지), 전뉴자
(轉鈕子: 강서 초약수책), 구(枸: 시경), 지구(枳枸: 장자), 

구(椇: 예기), 금구목자(金鉤木子: 여지지), 
길구수(桔枸樹: 위생이간방), 이조수(梨棗樹: 본초강목), 

금과수(金果樹: 중약대사전), 
호깨나무, 헛깨나무, 헛개나무 등으로 부른다.

헛개나무의 잎의 다른 이름은 지구엽(枳椇葉: 요가성, 식물본초)으로 부른다.

헛개나무의 뿌리의 다른 이름은 지구근(枳椇根: 요가성, 식물본초)이라고 한다.

헛개나무의 껍질의 다른 이름은 지구목피(枳椇木皮: 당본초)라고 한다.

헛개나무의 나무줄기에서 흘러나온 즙액의 

다른 이름은 지구목즙(枳椇木汁: 본초강목)이라고 한다.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

[지구자(枳椇子) //헛개나무열매, 호깨나무열매// [본초]

갈매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인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의 열매를 말린 것이다.  

헛개나무는 각지의 산기슭과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가을에 열매를 꼭지채로 따서 말린다.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다.  심경, 비경에 작용한다.  
갈증을 멈추고 번열(煩熱)을 없애며 해독하고 대소변이 잘 나오게 한다. 
번열이 나면서 입안이 마른는 데, 구토, 배뇨장애 등에 쓴다.

하루 9~15그램을 달이거나 환을 지어 또는 약술의 형태로 먹는다. 

비위(脾胃)가 허한(虛寒)한 데는 쓰지 않는다.]

안덕균씨<한국본초도감>에서는 헛개나무의 열매.

[지구자((枳椇子)

갈매나무과의 갈잎떨기나무 헛개나무(Hovenia dulcis Thunb.)의 종자이다. 

성미: 맛을 달고 성질은 평하다.

효능: 청열이뇨(淸熱利尿), 지갈제번(止渴除煩), 해주독(解酒毒)

해설

열병으로 번열(煩熱) 증상이 있는 것을 치료,  

딸꾹질과 구토에도 효력을 나타내며, 
소변을 잘 못 볼 때, 

알코올 중독에 유효

민간에서는 간장질환 치료제로 널리 쓰인다.

성분: 다량의 glucose가 함유되어 있다.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 

[허깨나무(Hovenia dulcis Thunb.)

다른 이름: 지구, 호깨나무

식물: 잎지는 큰키나무이다.  잎은 넓은 달걀 모양이다.  

이른 여름에 연한 풀색 꽃이 핀다.  
열매는 둥글고 붉은색을 띠며 꼭지는 가을철에 굵어진다.  

열매와 꼭지는 단맛이 있다.

중부와 남부의 산기슭, 산골짜기에서 자란다.

성분

열매꼭지에 자당, 포도당, 과당, 카탈라아제, 페록시다아제가 있다.  
총당은 약 13%이고 포도당과 자당은 거의 같은 양 들어 있다.  

당은 겉껍질 아래와 물관속 주위에 있다.

목부에는 트리테르페노이드인 호베니산 C30 H46 O3이 있다.  

잎에는 루틴이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열매 또는 씨, 흔히 꼭지가 붙은 열매(지구자)를 

오줌내기약, 독풀이약으로 
술독을 풀고 토하는 것을 멈출 목적으로 구역질에 쓰며 

오줌을 누지 못하는 질병에도 쓴다.  술에 열매와 
꼭지를 넣으면 알코올 함량이 낮아진다고 한다.

헛개나무 잎인 지구엽(枳椇葉)은 하루 11~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합서중초약>
가지와 잎의 달인 즙을 진하게 졸여서 복용한다.  

효능

열매 꼭지와 같으며 구토를 멎게 하고 알코올 
중독과 철봉추(鐵捧錘)의 독을 해독할 수 있다."고 기록

헛개나무 뿌리

지구근(枳椇根)의 채취는 9~10월에 하며, 

성분

뿌리껍질에는 polypeptido 알칼로이드인 
frangulalin, hovenine이 함유되어 있으며 또 hovenoside도 함유되어 있다.  

맛은 떫고 성질은 따뜻하다.  
풍습으로 인한 관절통과 근육통, 기의 순환과 혈의 순환 촉진, 

노상해수(癆傷咳嗽)를 치료한다.  
신선한 것은 150~300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고기와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주의사항

<중경초약>에서는 "습열한사(濕熱寒邪)가 풀리지 않은 환자는 복용을 금한다.

고 적고 있다.

헛개나무 껍질인 지구목피(枳椇木皮)의 맛은 달며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다.  

다섯가지 치질을 치료하고 
오장을 조화시키며 혈액순환을 촉진하고 근육과 힘줄을 풀고 

식적(食積)을 치료하며 철봉추(鐵捧錘)의 독을 제거한다.  
하루 11~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시 달인 물로 씻는다. 

헛개나무 줄기에서 흘러나온 즙액인 지구목즙(枳椇木汁)의 성분은 

목질부에 hovenic acid를 함유하고 있다.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헛개나무 열매인 지구자(枳椇子)의 채취는 10~11월에 

열매가 성숙되었을 때 열매 꼭지와 열매를 함께 따서 
햇볕에 말리거나 열매 껍질을 벗기고 씨앗을 털어 내어 햇볕에 말린다.  

열매의 성분은 다량의 
glucose와 calcium malate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작용에서 열매는 토끼에 대하여 현저한 
이뇨작용이 있었으며 부작용은 전혀 없었다. 
  
맛은 달고 시며 성질은 평하고 독이 없다.  

심, 비경에 작용한다.  알코올 중독, 아랫배 경련, 갈증 해소, 
오장을 촉촉하게 하며 대소변을 잘나오게 함, 

든 반신불수, 풍습으로 인한 사지 마비, 기생충 구제

비장을 자양함, 구토, 번열, 구갈,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
하루 11~19g을 물로 달이거나 술에 담그거나 환을 지어 먹는다.  

주의사항
<득배본초>에서는 "비위(脾胃)가 허한(虛寒)사람은 복용을 금한다

고 기록하고 있다.

헛개나무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

1, 남녀의 허약, 수족 무력증
헛개나무 뿌리 75g, 암백채(岩白菜) 75g, 계순초(鷄肫草) 75g을 

닭고기와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중경초약]

2, 노상(癆傷)으로 인한 토혈
헛개나무 뿌리 300그램을 돼지의 대퇴부 고기와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중경초약]

3, 음주로 인해 발적(發積)하거나 혹열(酷熱: 극심한열)로 인한 

증훈[蒸燻: 증병(蒸病), 조열(潮熱)이 나타나는 증상],
오장의 진액이 마르고 혈읍소변(血泣小便)이 많으며 기육(肌肉)이 

소연(消煉)되고 찬 음식만을 좋아하는 증상
헛개나무 열매 75g, 사향(麝香) 3.75g을 가루내어 풀로 벽오동씨 
크기의 알약을 만들어 1회 30환씩 빈속에 염탕(鹽湯)으로 복용한다. 

[세의득효방, 지구자환]

4, 주색 과도, 피로 토혈(疲勞 吐血)
헛개나무 열매 150g, 홍감자(紅甘蔗) 1개를 돼지심장, 돼지허파와 함께 

약한 불에 고아서 복용한다. [중경초약]

5, 수족경련(手足痙攣)
헛개나무 열매19g, 사필와(四匹瓦) 19g, 뱀딸기 19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

6, 소아 황수(黃瘦)
헛개나무 열매 37.5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호남약물지]

7, 죽은 태아가 나오지 않을 때
헛개나무잎 14개에 물과 술 각 1컵을 넣고 8할이 되도록 달여서 복용한다. 

[요가성, 식물본초]

8, 액취(腋臭: 겨드랑이 냄새)
헛개나무에 구멍을 뚫고 즙을 1~2사발 받아서 청목향(靑木香), 

도(桃), 유(柳), 인유(人乳)와
함께 달이고 1~2번 비등시켜 식기 전에 환부를 씻는다.

고 적고 있다. [위생이간방]

헛개나무에 대해서 세종대왕때 기록한 <의방유취>에서는 

"미산지방의 계영신이라는 사람이 키는 7척이나 
되고 말술을 마시는 호탕한 사람이었는데, 갑자기 

소갈병에 걸려 온갖 약을 다 썻으나 효험이 없어 
곧 죽게 되었는데 장립덕이라는 의원이 처방해준 헛개나무 달인 물을 

먹고 곧 나았다."고 알려준다.

중국의 <당본초>

 "다섯가지 치질을 치료하고 오장을 조화시킨다."고 기록, 

<합서중초약>
 "잎의 달인즙을 진하게 졸여 복용한다.  

효능 

열매꼭지와 같으며 구토를 멎게하고 주독과 쇠못의 독을 해독한다.
<본초최요> 

주취, 번열, 구갈, 대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술에 담가 복용하면 근육의 힘을 풀고 경맥을 잘 통하게 한다.  

소아가 복용하면 기생충을 구제하고 비를 자양한다.", 
맹선의 <식료본초> 

지구목으로 집을 수리하다가 잘 못하여 나무토막을 하나 

술독에 빠트렸더니 술이 모두 물이 돼 버렸다.
"고 기록

 소송의 <도경본초>에서는 "호깨나무를 기둥이나 서까래로 써서 집을 지으면 
그 집안에 있는 술이 모두 물이 되고 만다."고 기록 되어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