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백초 피를 맑게 하고, 혈액순환 원활히 하며, 이뇨.변비.숙변에 탁월한 효능이 있으며       

    장내 유익세균 증식을 돕고, 유해세균 억제하며, 해독작용 아주 뛰어난 약초입니다.


삼백초(三白草) 모세혈관 강화식품이며, 뇌졸중 예방식품이다.

   중풍(中風) 예방 치료 아주 이상적인 식품(食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삼백초 항암작용 뛰어나며, 특히 간암(肝癌), 폐암(肺癌), 위암(胃癌) 잘 듣습니다.

☞ 중국의 박순식이라는 교포한의사는 삼백초를 주재료로 하여 말기 암(癌)환자를 90%이상 완치시켰다고

   합니다.[흑룡강방송, 우리나라 5대 일간지의 해외토픽란, 조선일보 칼럼 “李圭泰 코너”에 보도 및 소개됨]


[中葯大辭典] [治癌七00種]에도 복수가 겹친 간암(肝癌)에 삼백초 뿌리가 잘 들으며

    특별히 [간암복수(肝癌腹水)] 특효가 있다고 나와 있고, 황달(黃疸)에도 잘 듣는다 고 합니다.


★ 그 밖에 중국의 각종 본초학 및 약학서적에 소개된 삼백초의 효능, 효과


삼백초 부인병의 명약으로 특히 냉.대하, 자궁염, 생리불순 등에 많은 효과가 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대하치료,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부인조경, 광서중약지(廣西中葯志): 부녀 적,백대하, 영남채약록(嶺南采葯錄): 소변에 관한 질병인 임탁(淋濁)을 고쳐 주고,  본초추진(本草推陳): 역시 소변에 관한 질병인 허림(虛淋), 화림(火淋)을 고쳐 준다고 함[화림(火淋)은 소변볼 때 불로 지지는 것처럼 따가운 증세. 허림(虛淋)은 허해서 소변이 시원치 않은 증세]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청리습열(淸利濕熱) 즉 오줌을 맑게 하고 습열(濕熱)을 사라지게 한다. 소종(消腫) 즉 부종(浮腫)을 삭히며, 해독(解毒)을 한다. 그리하여 수종(水腫). 각기(脚氣). 황달(黃疸). 임탁(淋濁). 대하(帶下). 옹종(癰腫). 정독을 고쳐 준다고 나와 있다.


당본초(唐本草):수종(水腫)과 각기(脚氣)에 좋고 대소변(大小便)을 원활히 배설케 하며 소담파벽(消痰破癖) 즉 가래를 삭히고 벽(癖)을 뚫어 주며, 제적취(除積聚)즉 적취(積聚)를 제거하고, 정종을 고쳐 줌


식물명실도고(植物名實圖考): 근골(筋骨)의 질병을 고치는데 많이 쓰이며 부인(婦人)의 월경조절(月經調節)에 쓴다. 신경통, 근육통, 류머티즘, 골수염 등을 앓는 분은 이 삼백초를 어떤 형태이든 일상으로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한 일일 것입니다. 특히 최근 급증하고 있는 교통사고 후유증과 류머티즘에 꼭 권하고 싶은 약초입니다.


영남채약록(嶺南采葯錄): 임탁(淋濁) 즉 오줌이 탁하고 소변 볼 때 통증이 수반되는 증상을 고치며, 소변을 순조롭게 하고 열독(熱毒)을 삭게 한다고 나와 있다.


호남약물지(湖南葯物志): 이질(痢疾)과 독사(毒蛇)에 물린 상처에 듣는다고 나와 있다. ※ 독사(毒蛇)에

물린 상처에는 삼백초(三白草) 날(生) 잎과 줄기를 같이 짓찧어 환부에 쳐매는(붙여 주는) 것입니다.


 ▶중국의학대사전(中國醫學大辭典): 소담(消痰), 파벽(破癖), 제적취(除積聚), 이대소변(利大小便), 치학질(治虐疾), 치흉격 담열(治胸膈痰熱), 치수종(治水腫), 치각기(治脚氣), 치소아비만, 요정종 이라고 나와 있어

"중국약학대사전"의 내용과 대동소이한 것임.


중경초약(重慶草葯): 기(氣)를 보(補)하고 비(脾)를 건강케 하며, 습(濕)을 제거하고, 백대하(白帶下),노병, 해수(咳嗽), 토혈(吐血), 허종(虛腫)을 고친다.


이밖에도 고질적인 두통, 고혈압, 만성변비, 기관지염, 악성무좀, 심장병, 비만증, 중풍으로 인한

보행과 언어장애, 악성 여드름, 만성피로, 습진, 피부병, 화상 등에 삼백초를 먹거나 짓찧어 붙이는 방법으로 나았다는 기록이 있고 정력이 좋아졌다고 보고하고 있다.

'도움되는 효능글 > 약재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지버섯효능  (0) 2011.04.09
민들레 효능  (0) 2011.04.09
구골목의효능  (0) 2011.04.09
남정목과 여정목효능  (0) 2011.04.08
항암효과시무나무효능  (0) 2011.04.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