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단풍(aceriphyllum rossii Engler)은 범위귀과 돌단풍속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돌단풍속은 전세계에 2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도 돌부태손(가시잎돌단풍)과 돌단풍이 자라고 있으며 변종으로 큰돌단풍(둥근돌단풍: Aceriphyllum rossii var. muhilobum Nak.), 홑잎돌단풍(Aceriphyllum rossii var. simplicifolia Nak.)이 자라고 있다.  

키는 30cm 가량이고 근경은 누우며 살찐 뿌리는 짧고 비늘조각 모양의 막질로 된 포가 붙어 있다. 꽃줄기는 곧게서고 잎은 총생한다. 잎자루는 길고 손 바닥 모양이며 깊게 5~7갈래로 갈라지며 양 면에 털이 없고 광택이 난다. 꽃은 보통 흰색에 엷은 붉은색을 띠고 있으며 줄기 끝에 달리고 꽃자루가 짧다.

화관의 지름은 1.2~1.5cm이고 꽃받침은 6장이며 긴 난형이고 끝이 뾰족하고 흰빛이 돈다. 꽃잎은 5~6장이며 난상 피침형이다. 끝이 날카로우며 꽃받침 조각보다 짧고 꽃받침과 같이 꽃이 필 때 뒤로 젖혀진다. 수술은 6개이고 꽃잎보다 조금 짧다. 열매는 삭과이고 난형이며 개화기는 5월이며 결실기는 7~8월이다.

돌단풍은 산골짜기의 물가 근처에 있는 벼랑이나 바위틈에서 자라며 살이 찐 뿌리 줄기는 바위틈새로 벋어 나간다. 잎의 모양이 단풍잎과 비슷하고 바위틈에서 자란다고 하여 "돌단풍"이라고 부른다.

돌단풍의 다른 이름은 축엽초(槭葉草, 척엽초:槭葉草: 중국본초도록), 돌단풍, 장장풍, 장장포, 부처손, 돌나리라고도 부른다.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에서는 돌단풍에 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축엽초(槭葉草)

기원: 호이초과(虎耳草科=범의귀과: Saxifragaceae)식물인 척엽초(槭葉草(Mukdenia rossii (Oliv.) Koidz.)의 전초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는 10-30cm이다. 지하경(地下莖)은 굵고 단단하며 갈색(褐色)의 인편(鱗片)이 있다. 줄기의 기부(基部)에서 1-2장의 잎이 나는데 난원형(卵圓形)이고 5-7조각으로 장상천열(掌狀淺裂)하거나 심열(深裂)하며 열편(裂片)은 난상(卵狀) 피침형(披針形)이다. 화경(花莖)에 유모(柔毛)가 성기게 나있다. 복산형화서(複傘形花序)가 달리는데 길이는 5-7cm이고, 꽃받침은 종형(鐘形)으로 백색(白色)이고 꽃잎은 5-6장으로 피침형(披針形)이며 백색(白色)이고, 수술은 5-6개이고 심피(心皮)는 2개이다.  

분포: 산골짜기의 물가 근처에 있는 벼랑에서 자란다. 중국의 동북(東北) 지방에 분포한다.  

채취 및 제법: 4-6월에 캐어 서늘한 곳에서 말린다.

성분: flavonoid 화합물(化合物).  

효능: 강심(强心), 이뇨(利尿).  

주치: 민간에서 심동과속(心動過速)에 사용하며 감완심도작용(減緩心跳作用)이 있다.

용량: 10-15g.

참고문헌: <장백산식물약지> 511면]

돌단풍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돌단풍(Mukdenia rossii Koidzumi)

다른 이름: 장장포

식물: 높이 30~5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 줄기는 굵은 원주형이다. 잎은 손 바닥 모양으로 갈라졌다. 붉은 보라색을 띤 흰색의 작은 꽃이 핀다.

북부와 중부 산골짜기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응용: 민간에서 뿌리 줄기는 동약 석창포의 대용품으로 쓰는 일이 있다. 석창포와 같이 쓸 수 있겠는지는 검토되어야 하리라고 생각된다.]

돌단풍을 일본어로는 '이와야츠테(いわやつて)'라고 부른다.

돌단풍은 척박한 환경인 낭떠러지나 바위틈에서도 끈질기게 붙어 자라는 모습을 볼 때 좋지 않은 환경에서도 저렇게 까지 인내하며 생명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 사람도 인생을 살다보면 집안의 우환이 겹치거나 고난과 어려움이 닥칠 때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지를 말없이 교훈해 주고 있는 것을 느끼게 한다.

▶ 심장박동이 너무 빠른 것을 느리게 하는 작용, 강심작용, 이뇨작용, 봄나물용으로 활용되는 단풍잎을 닮은 아름다운 돌단풍

'도움되는 효능글 > 약재의 효능'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가목 효능(나무와 열매)  (0) 2011.03.18
천궁의효능  (0) 2011.03.17
생강나무효능  (0) 2011.03.15
다래나무와 암세포죽이는 녹나무  (0) 2011.03.15
알로에사포나리아 효능  (0) 2011.03.14

+ Recent posts